본문 바로가기

함께 이루는 하나님 나라

기독교윤리실천학교 준비를 위한 기윤실 내부 워크숍 - 발제2(신원하 기독교윤리연구소장)

2014년 세월호 참사로 드러나 대한민국의 윤리수준은 윤리운동 단체인 기윤실에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주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낮은 윤리수준에 기윤실이 책임감을 갖고 시민들의 윤리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하기 위해 준비중에 있습니다. 그 준비의 과정으로 지난 3월27일(금) 손봉호 자문위원장과 신원하 기독교윤리연구소장을 모시고 내부 워크숍을 가졌습니다. 신원하 기독교윤리연구소장의 발제 녹취록을 공유합니다. 앞으로 기윤실의 운동과 기독교윤리실천학교에 많은 관심과 응원부탁드립니다. 


기독교윤리실천학교 준비를 위한 - 기윤실 내부 워크숍 발제2

신원하 기독교윤리연구소장 발제 녹취록




계몽주의 이후 윤리는 이성을 사용해서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의무가 무엇인지 덕이 되는 목적이 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것에 맞춰서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동, 행위의 윤리가 주류를 이뤘다.


그 이후 행위자에게 초점을 맞춰 어떤 존재가 될 것인가 하는 쪽으로 관심이 모여졌다. 이전에는 인식해놓은 규범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인간의 이성이 흔들리고 인간은 확실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됐다. 불안전안 지식에 근거해서 당위를 결정하지 말고 인간이 무엇을 희망하고 바라면서 살아가야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에 맞춰서 행동을 정해 가야한다는 흐름이다. 칸트용어로 1)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2)나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3)나는 무엇을 희망해야하는가? 


소위 존재에 중점을 두는 윤리적 경향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의 목적, 목적론적 윤리, 덕의 윤리를 이야기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선한 삶의 목적은 행복이다. 매킨타이어는 선한 삶이란 선한 삶을 위해 살아가는 삶이다라고 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의 윤리, 어떤 목적을 지향하는 존재인데, 모든 것은 목적을 갖고 창조되었다. 자아실현의 윤리,인생의 목적은 자아실현을 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질서있는 통합, 이성적인 부분은 지혜, 비이성적인 부분은 용기, 절제 이것을 통합하는 것이 정의라고 했다. 플라톤은 특별히 지혜를 강조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이성적인 부분을 열등한 것으로 본 플라톤과는 다르게 비이성적인 부분을 강조했다. 덕이 모두 잘 조화를 이루어야 안녕한 삶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적인 탁월성 성품적인 도덕적인 탁월성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바른 행동을 한번 했다고 덕스러운 삶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이 지나서 습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습관이 덕스러운 행동과 방향을 좌우한다. 행복한 삶, ‘안녕’은 덕스러운 행동과 성향을 개발해서 습관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덕스러운 사람이 항상 덕스러운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습관이 중요하다. 습관은 시간을 통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예측가능하다. 관습화 되어서 주변 영향으로 나오는 습관이 아니라 행동을 위해서 준비된 습관이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습관이 굳어지면 성품이 되는데 이것이 우리의 행동을 뒷받침해준다고 했다. 비전을 강조했고 습관이라는 것은 공동체가 갖고 있는 비전에 의해서 형성되어 지기 쉽다고 했다. 공동체의 비전은 공동체가 계속 전해 받아온 이야기, 만들어가고 있는 이야기, 전하는 이야기에서 형성된다.


습관형성에 있어서는 공동체 안에서의 이야기가 굉장히 중요하다. 그리고, 공동체에서의 비전이 중요하다. 이야기 신학, 이야기 윤리라고도 한다. 그리스도인의 습관 인격은 그리스도 공동체 멤버들간의 관계, 그 안에서의 이야기, 비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또 오랜 시간에 거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정직은 하나의 습관이고 인격이다. 정직하지 못한 행동은 가정에서 교회에서 자연스럽게 배워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덕윤리와 계명윤리 둘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기 보다 같이 가야한다. 


존재윤리를 강조하고 공동체 습관을 강조하는 학자들은 인간들의 성품이 인성이 행동에 선행한다고 하는데, 과연 자동적으로 연결이 되어질 수 있을까? 꼭 그렇지는 않고 같이 가야한다고 생각한다. 해라 하지말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눈앞에서 그런 삶을 살아가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큰 영향을 준다. 윤리적 인물들이 공동체에 많아지고 그런 사람들의 삶을 보는 것만으로 삶이 변할 수 있다. 공동체에 그러한 인물들이 많아지는 것이 중요하다. 교회도 사회에 존재만 하더라도 빛의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015/05/14 - 기독교윤리실천학교 준비를 위한 기윤실 내부 워크숍 - 발제1(손봉호 자문위원장)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OnAir 기윤실"을 구독하세요.^^ =>